본문 바로가기

그룹사 뉴스

[신한카드] 신한카드로 ‘요즘 추석’ 더욱 풍성하게 보내세요!
2025.09.17

신한카드로 ‘요즘 추석’ 더욱 풍성하게 보내세요!
- 신한카드, 변화하는 추석 트렌드 반영한 대고객 이벤트 실시 -
  • 전통적인 ‘명절’에서 놀고, 쉬고, 사는 ‘연휴’로 추석 인식 변화 가속화
  • 긴 연휴를 즐기는 다양한 방식 고려한 5가지 컨셉의 ‘플랜(Plan)’ 이벤트 선봬
  • 가족을 위한 소비, 나를 위한 소비, 해외여행, 집콕 생활, 쇼핑 등 컨셉별 풍성한 혜택 제공
황금연휴, 황금소비 Plan 이미지

힘내자 대한민국! 황금연휴, 황금소비Plan

추석, 고생하는 명절에서 즐거운 연휴로 이미지

Happy holiday 추석, 고생하는 명절에서 즐거운 연휴로 1. 추석+명절 vs 추석+연휴 언급 추이(분석기간: 22년~24년 8월~ 10월, 25년 8월 신한카드 자체 소셜 데이터 분석 기준, 언급 키워드: 추석+명절, 추석+연휴) ㄱ. 2022년 명절: 48.1%, 연휴: 51.9% ㄴ. 2023년 명절: 38.5%, 연휴: 61.5% ㄷ. 2024년 명절: 34.3%, 연휴: 65.7% ㄹ. 2025년 명절: 18.0%, 연휴: 82.0% 2. 추석vs명절vs연휴에 대한 감성 차이 ㄱ. 명절: 부정감성어(짜증나다, 고생하다, 부담스럽다, 불편하다, 싸우다, 사람많다), 중립감성어(식사하다, 모이다) ㄴ. 연휴: 긍정감성어(맛있다, 즐겁다, 신나다, 떠나다, 가고싶다), 중립감성어(식사하다, 돈쓰다, 모이다), 부정감성어(사람많다) ㄷ. 추석: 중립감성어(고민하다, 구매하다, 필요하다, 계획하다, 준비하다, 식사하다, 모이다), 부정감성어(사람많다, 바쁘다) 여러분에게 추석은 명절인가요 연휴인가요? 소셜미디어상에서는 추석과 관련해 ‘연휴’언급은 늘어나고 ‘명절’언급은 줄어들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명절과 연휴는 어떻게 다를까요? 명절에는 ‘고생하고, 부담스럽고, 짜증난다'와 같은 부정 감성어가, 연휴에는 ‘맛있는 음식, 즐겁고, 신나고, 떠나고, 가고싶다'와 같은 긍정 감성어가 함께합니다. 요즘 추석은, 고생은 덜고 흥은 늘어나는 ‘연휴'로 인식하는 사람들이 더 많아지고 있습니다. 맛과 재미가 더해진 새로운 추석, 사람들은 어떤 방식으로 연휴를 보내고 있을까요?

1. 배달 이미지

요즘 추석 트랜드 1. 배달(22년 대비 24년 추석 기간 전후 2개월 신한카드 자체 소셜 데이터분석 기준) 1) 추석 연관 외식, 배달음식, 차례상 언급 증감(외식: 21.7%, 배달음식 8.4%, 차례상 -10.2%) 2) 배달 플랫폼(배달의 민족, 쿠팡이츠, 요기요, 땡겨요 4개 플랫폼) 이용 증가율(추석 전주 대비 추석주 이용 변화 비교, 이용건수: 4.7%, 이용자수: 2.9%, 인당금액: 8.7%) 3) 추석주 배달플랫폼 이용건수 추이(추석 다음날 연휴 평균 대비 18.5% 증가) 여전히 추석엔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가지만, 추석 문화는 달라지고 있습니다. 소셜미디어상에서 ‘차례상’에 대한 언급이 ’22년 대비 10.2%나 감소했습니다. 반대로 신한카드 데이터에서도 같은 흐름이 나타납니다. 추석 연휴 기간 배달앱 이용건수는 전주대비 4.7% 늘었고, 인당 결제액은 무려 8.7%가 증가했습니다. 특히 추석 다음날은 연휴 평균보다 18.5% 더 많은 고객이 배달음식을 찾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추석 다음 날 온 가족이 배달 음식을 즐기는 모습도 새로운 추석 풍경이 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2. 밥사주는 60대 이미지

요즘 추석 트렌드 2. 밥 잘 사주는 60대 - 주요 프랜차이즈(빕스, 애슐리퀸즈, 아웃백 등 프랜차이즈 음식점 신한카드 이용 기준) 1) 이용증가율(추석 전주 대비 추석주 이용 변화 비교) ㄱ. 이용건수: 34.2% ㄴ. 이용자수: 14.4% ㄷ. 인당금액: 22.4% 2) 연령대 비중 변화 ㄱ. 추석전주 a. 20대: 12.7% b. 30대: 32.1% c.40대: 33.5% d. 50대: 14.8% e. 60대: 6.8% ㄴ. 추석주(전주대비 4060비중 +5.0%p) a. 20대: 10.1% b.30대: 29.8% c.40대: 36.2% d. 50대: 17.1% e. 60대: 6.9% ㄷ. 추석당일(추석주 대비 4060비중 +7.7%p) a.20대: 7.9%, b. 30대: 24.3% c. 40대: 37.0% d. 50대: 21.3% e. 60대: 9.5% 3) 연령대별 인당 이용금액 60대 추석전주比 60% 증가, 전 연령대 평균 “당일금액“比 32.3% 높음 ’24년 추석 외식 비용은 어땠을까요? 지난해 추석, 고물가와 불경기 여파로 빕스, 애슐리퀸즈, 아웃백 등 가족친화적 외식 프랜차이즈가 추석 특수를 누렸다는 보도가 많았습니다. 실제 신한카드 고객들의 결제를 통해서도 추석 전주 대비 추석주 동안 해당 프랜차이즈 음식점의 이용건수와 이용자수가 모두 증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흥미로운 점은 추석주 동안 이용자 연령대입니다. 연령대별로 보면 40대가 가증 많이 이용했지만, 추석주 동안 4060대의 비중이 눈에 띄게 증가했습니다. 특히 추석 당일, 60대의 인당 이용금액이 가장 높았는데요. 명절날 손맛 대신, 가족을 위해 외식을 선택하는 새로운 모습을 ‘요즘 조부모님'들이 보여주고 있는 거 아닐까요?

3. 미리 준비하는 여행

요즘 추석 트렌드 3. 미리 준비하는 여행(신한카드 자체 소셜 데이터 분석 기준) 1) 추석+티켓 예약 언급 추이 23년 동월 대비 24년 10월 +58.8% 2) ’23년vs’24년 항공사 이용 증가율(23년 대비 24년 주요 항공사-국적기, 외항사, LCC 포함-가맹점 신한카드 이용 기준) ㄱ. 9월(전체 항공기: 35.5% 증가, 국적기: 68.3% 증가), 10월(전체 항공기: 37.4% 증가, 국적기: 63.1% 증가), 11월(전체 항공기: 29.9% 증가, 국적기: 54.1% 증가), 12월(전체 항공기: 30.8% 증가, 국적기: 53.8% 증가) ㄴ. 24년 평균 증가율(전체항공사: 19.3%, 국적기: 35.9%) 올해처럼 긴 추석 연휴에 여행을 포기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인지 저렴하게 항공편을 구매하고자 하는 수요가 전년 대비 높았는데요, 소셜미디어 상에서도 ’24년 10월부터 ’25년 추석 연휴를 대비해 ‘내년 추석 티켓 예약‘ 언급량이 전년 동월 대비 58.8% 증가했습니다. 언론에서도 ‘추석 연휴 마일리지 항공권'이 1년 전부터 빠르게 소진됐다는 보도가 이어졌고요. 이 같은 현상은 신한카드 데이터에서도 확인됩니다. ’23년 대비 ’24년, 추석 연휴 직후 9~10월 항공사 결제 건수가 크게 늘었고, 특히 ‘마일리지 항공권'을 1년 전 오픈하는 국적기 항공사의 이용이 더 뚜렷하게 증가했습니다. 저렴한 항공권을 미리 확보하고, 긴 연휴를 기회로 여행을 미리 준비하는 움직임이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신한카드(사장 박창훈)는 긴 추석 연휴를 맞아 변화하는 추석 소비 트렌드 분석을 토대로 마련한 특별한 이벤트 ‘힘내자 대한민국! 황금연휴, 황금소비 Plan’을 진행한다고 17일 밝혔다.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가 최근 3년 추석 기간 전후 소비 데이터와 소셜미디어 상 추석 연관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전 연령대에서 ‘여행’에 대한 관심이 가장 뚜렷했으며 이외 공통 관심사로는 ‘쇼핑’과 ‘선물’이 뒤를 이었다. 온 가족이 모여 성묘와 차례를 지내는 전통적인 ‘명절’의 모습에서 놀고, 쉬고, 소비하며 여가와 휴식에 집중하는 ‘연휴’로 추석에 대한 인식이 전환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신한카드는 장기 연휴의 특징으로 외식, 배달 이용 증가와 여행 및 미용 시술 등 고액 결제 이용 증가를 포착했다. 맞벌이, 1인 가구의 증가와 명절 음식 수요 감소로 연휴 동안 외식을 하거나 배달을 이용하는 고객들이 많아졌고, 길어진 연휴를 활용해 장거리, 장기 여행을 떠나기도 하며, 자기 관리에 적극적인 고객들의 ‘나’를 위한 가치 소비 트렌드가 확산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신한카드는 이처럼 ‘요즘 추석’을 즐기는 방식을 반영해 다섯 가지 컨셉의 ‘플랜’이라는 다양한 추석 이벤트를 준비했다. 이벤트별 행사 기간이 상이하므로 유의사항 등 자세한 내용은 신한 SOL페이 및 신한카드 홈페이지를 확인하면 좋다.

먼저 ‘가족을 위한 행복 플랜’이 마련돼 있다. 신한 SOL페이로 추석 기차표 예매 기간에 코레일을 예매한 고객에게 추첨을 통해 결제금액의 최대 100%까지 포인트를 적립해준다. 전통시장사랑 체크 신한카드로 전통시장에서 1만원 이상 이용 시에는 5%를 최대 5천원까지 캐시백 해준다.
이에 더해 신한카드 고객이라면 소지한 카드에 따라 전국 테마파크 이용 시 최대 60%까지 할인 받을 수 있다. 또한 패밀리레스토랑(빕스, 아웃백)에서 10만원 이상 결제 시 3천 포인트를 추가로 적립해준다.

다음으로 ‘나를 위한 플렉스(Flex) 플랜’은 성형외과, 피부과 포함 병원 업종 이용 시 2~3개월 무이자 혜택을 제공한다. 무신사 추석 할인, LGE.com 할인, 샵백(Shopback) 직구 추가 캐시백 등 패션 및 가전 영역에서도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해외여행을 떠나는 고객을 위한 ‘신나는 해외여행 플랜’도 있다. 먼저, 해외 오프라인 매장에서 삼성월렛 이용 시 최대 5만원까지 캐시백 해준다. 또한 트립닷컴에서 신한 비자 신용카드로 숙박이나 항공권 결제 시 최대 20%까지 즉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해외에서 5만원 이상 이용한 금액을 분할납부 전환 시에는 추첨을 통해 최대 3만원을 캐시백 해준다.

‘우리집이 최고! 집콕 플랜’은 연휴 동안의 슬기로운 집콕 생활을 지원한다. 유튜브 프리미엄, 넷플릭스, 웨이브, 멜론 등 OTT 신규 구독 고객에게 최대 6천원까지 캐시백 혜택을 제공한다. 땡겨요 배달 앱 이용 시에는 매일 5천원의 할인 쿠폰을 제공한다. 또 SOL페이 앱에서는 윷을 던질 때마다 최대 1천 포인트를 즉시 적립해주는 윷놀이 이벤트도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한 쇼핑 플랜’은 고객들이 선호하는 여러 온·오프라인 쇼핑 채널에서 쏠쏠한 혜택을 제공한다. 네이버플러스, 쿠팡와우 멤버십 신규 구독 시 캐시백과 알리익스프레스 결제 시 최대 15%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쿠팡, 컬리, 오아시스에서 SOL페이로 10만원 이상 결제 시에는 2천 포인트를 추가로 적립해준다.
그리고 가을 스탬프 페스타 이벤트의 경우, 50만원 이상 이용, 전통시장 이용 등 5가지 미션에 대해 획득한 스탬프 개수에 따라 추첨을 통해 최대 1만원을 캐시백 해준다. 또 스타필드에서 스타필드 신한카드 이용 시 합산 이용 금액에 따라 신세계 상품권 또는 쇼핑몰 이용권을 증정한다. “끝”


  • 상품명 : 스타필드 신한카드
  • 연회비 : (국내전용) 1만7천원, (해외겸용) Mastercard 2만원
  • 전월실적 및 적립(할인)한도 등 적용기준은 신한카드 홈페이지 및 약관을 통해 확인 바랍니다.
  • 본 이벤트(혜택)는 카드사 및 제휴사 사정에 의해 변경 또는 중단될 수 있습니다.
  • 계약 체결 전, 연회비 등 상세사항은 금융상품설명서 및 약관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금융소비자는 금융소비자보호법 제19조 제1항에 따라 해당 금융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하여 설명을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 신용카드 발급이 부적정한 경우(개인신용평점 낮음, 연체(단기 포함) 사유 발생 등), 카드발급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카드 이용대금과 이에 수반되는 모든 수수료는 고객님께서 지정하신 결제일에 상환하여야 합니다.
  • 연체이자율은 ‘회원별, 이용상품별 약정금리+최대 연 3%, 법정 최고금리(연 20%)이내’에서 적용됩니다.
    단, 연체 발생 시점에 약정금리가 없는 경우 아래와 같이 적용함
    • 일시불 거래 연체 시: 거래 발생 시점의 최소기간(2개월) 유이자 할부 금리
    • 무이자 할부 거래 연체 시: 거래 발생 시점의 동일한 할부 계약기간의 유이자 할부 금리
    • 그 외의 경우: 약정금리는 상법상 상사법정이율과 상호금융 가계자금대출금리 중 높은 금리적용
      *한국은행에서 매월 발표하는 가장 최근의 비은행 금융기관 가중평균대출금리(신규대출 기준)
  • 상환능력에 비해 신용카드 사용액이 과도할 경우, 귀하의 개인신용평점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 개인신용평점 하락 시 금융거래와 관련된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일정기간 신용카드 이용대금을 연체할 경우, 결제일이 도래하지 않은 모든 신용카드 이용대금을 변제할 의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준법감시 심의필 제20250923-Cpi-003호(2025.09.23~2026.09.22)